해외출원 썸네일형 리스트형 해외출원을 해보자(6) - 심사청구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외 다른 국가들에서의 출원과 심사 청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심사청구란? 미국을 제외한 기타 국가에서, 특허를 출원할 때 심사를 받을지 말지를 선택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특허 출원 시 심사를 받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한국 특허청(KIPO)에 국내 출원 시에도 마찬가지인데, 실제로 많은 출원인들이 특허권을 방어할 목적, 시장 변화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추후 청구항을 적절히 수정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출원을 먼저 진행하지만 심사는 나중에 받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국내 특허, 즉 한국 특허의 경우 출원 시 심사 청구를 하지 않을 경우 출원일로부터 최대 5년까지 심사를 받지 않고 출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일본의 경우, 우선권 출원일이 아닌.. 더보기 해외특허출원은 어떻게? : 개별국 출원과 국제출원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는 해외로 특허를 출원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국내에서만 비즈니스를 운영할수도 있지만 만약 비즈니스를 해외로 확장시키고 싶다면 진출하고자 하는 국가에서도 내 특허의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게 해외에 특허 출원을 진행해야 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도 설명했듯이 특허란 "속지주의 (한 영토 안에 속한 사람은 그 국적과 관계없이 그 곳의 법률을 따라야 함"이기에 여러 국가에서 특허권을 보호받고 싶다면 그 각각의 국가에서 특허를 취득하여야 합니다. 해외 출원 방법으로는 크게 두가지가 있는데, ‘파리루트출원’이라 불리는 개별국 출원 방식과 PCT국제출원 방식입니다. 파리루트출원:개별국 출원 먼저 파리루트출원이란, 1883년 파리에서 서명된 국제 조약을 말합니다. 국내 우.. 더보기 이전 1 다음